SpringBoot 프로젝트에 JWT 토큰 인증 방식 구현하기 Refresh Token + Access Token + BlackList 전략으로 로그인 인증 구현하기 저는 이전에 진행 중이던 프로젝트에서 JWT 토큰 인증 방식을 선택해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팀원들과 약속했던 것들 중의 하나가 사용자가 점점 늘어난다는 가정 하에, Scale Out을 고려하여 프로젝트를 설계하자는 것이 가장 첫번째의 약속이었기 때문입니다. 토큰 인증 방식이 세션 인증 방식에 비해 확장에 용이하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고려해 토큰 인증 방식을 선택하였습니다. 구현에 앞서서 제가 생각한 인증의 흐름은 이러합니다. 그러나 저는 이러한 흐름에서 문득 이러한 문제에 도달했습니다. 토큰은 Stateless, 즉 무상태이기때문에 로그아웃한 유저의 토큰이나 회원탈퇴한 유저.. 프로젝트/O-GYM 4년 전
SpringBoot 프로젝트에 Redis Cache 적용하기 처음 Redis에 대해 접한 것은 강대명님의 Redis 관련 강의 영상이었습니다. https://youtu.be/mPB2CZiAkKM 홀린듯이 2시간에 달하는 영상을 모두 시청하고 강의를 보고 찾아본 Redis 관련 자료들은 더더욱 저를 매료시켰습니다. 다음에 느낀 감상은, 다음에는 기필코 Redis를 도입한 프로젝트를 진행해보자는 것이었습니다. 이런 강의를 들으면 항상 매혹되면서도 결국 직접 사용해보기 전에는 그것들에 대해서 제대로 감이 오지 않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결국 이해를 위해서는 그것을 도입해보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했고 또한 캐싱은 성능 향상을 가장 극적으로 느낄 수 있는 기능 중 하나라고 생각하기도 했기에 프로젝트에 적용해보자고 마음 먹었습니다. 따라서 이번 글에서는 프로젝트에 Redis.. 프로젝트/O-GYM 4년 전